반응형 전공/운영체제48 Ch07. 물리 메모리 관리_03)단일 프로그래밍 환경에서의 메모리 할당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메모리 오버레이 메모리 오버레이 프로그램의 크기가 실제 메모리(물리 메모리)보다 클 때 전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가져오는 대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가져오는 기법 메모리 오버레이를 사용하면 물리 메모리보다 더 큰 프로그램도 실행이 가능하다! 메모리 중첩 메모리 오버레이의 작동 방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필요한 모듈만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 메모리 오버레이의 의미 한정된 메모리에서 메모리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 가능. 이것은 가상 메모리의 기본 개념임. 프로그램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 메모리에 올라와도 실행 가능 이것은 메모리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여러 프로세스에 할당할 수 있다는 의미임. 중첩 (오버레이) 실행하려는 프로그램이 메모리보다 클 때는 당장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의 일부는 중.. 2023. 5. 14. Ch07. 물리 메모리 관리_02)메모리 주소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메모리 주소 : 메모리에 접근 시 주소 이용. 따라서 메모리와 주소는 매우 밀접한 관계임 32bit CPU와 64bit CPU의 차이 CPU의 비트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 – 이를 워드(word)라 부름 32bit CPU는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가 32bit (1word = 32bit) 32bit CPU 내의 레지스터 크기는 전부 32bit, 산술 논리 연산장치와 대역폭도 32bit로 설계됨 32bit CPU의 메모리 크기 표현할 수 있는 메모리 주소의 범위가 0~232-1, 총 개수가 232 16진수로 나타내면 00000000~FFFFFFFF, 총 크기는 232B (약 4GB) 64bit CPU의 메모리 크기 0~264-1번지의 주소 공간을.. 2023. 5. 14. Ch07. 물리 메모리 관리_01)메모리 관리의 개요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메모리 (주기억장치) 관리 메모리 관리는 프로세스들을 위해 메모리 할당, 제거, 보호하는 활동 디스크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먼저 메모리에 적재 후 메모리 관리자(관리장치)가 예약된 메모리 할당해 주는 것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상주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가 동적으로 메모리 세분화 동일한 조건이면 메모리 용량이 512KB인 컴퓨터보다 1GB인 컴퓨터의 작업속도가 더 빠르지만, 4GB 메모리의 컴퓨터와 16GB 메모리의 컴퓨터는 체감 속도가 비슷함 이처럼 메모리의 용량을 늘리면 작업속도가 빨라지지만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그 차이가 작아짐 CPU 작업공간이 메모리이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는 컴퓨터 성능에 막대한 영향이 있음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의 복.. 2023. 5. 13. [심화]Ch06. 교착 상태_04)다중 자원과 교착 상태 검출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다중 자원과 사이클 다중 자원과 사이클 다중 자원이 포함된 자원 할당 그래프에서는 대기 그래프와 그래프 감소 방법을 이용하여 사이클을 찾음 대기 그래프 자원 할당 그래프에서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에 기다리는 관계만 나타낸 그래프 그래프 감소 대기 그래프에서 작업이 끝날 가능성이 있는 프로세스의 화살표와 관련 프로세스의 화살표를 연속적으로 지워가는 작업 대기 그래프와 그래프 감소 다중 자원 사용 시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그래프 감소 결과 사이클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다중 자원 사용 시 교착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그래프 감소를 해도 여전히 사이클이 남아있어 교착 상태가 발생 2023. 4. 29. Ch06. 교착 상태_03)교착 상태 해결 방법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교착 상태 해결 방법 교착 상태 해결 방법 교착 상태 예방(prevention) : 교착 상태를 유발하는 네 가지 조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교착상태 조건 4가지에 대하여 각각의 방법이 존재함 교착상태는 상호배제, 비 선점, 점유와 대기, 원형대기라는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발생하기 때문에 이 중 하나라도 막으면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그러나, 이 방법은 실효성이 적음 교착 상태 회피(avoidance) :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원 할당량을 조절하여 교착 상태를 회피하는 방식 즉, 자원을 할당하다가 교착 상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원 할당을 중단하고 지켜보는 것 그러나 자원을 얼마만큼 할당해야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 2023. 4. 29. Ch06. 교착 상태_02)교착 상태 필요 조건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교착 상태 필요조건 교착 상태 필요 조건 다음 4가지 조건이 모두 발생해야만 교착상태 발생(필요조건) 4가지 중 단 한 가지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할 수 없는 배타적인 자원이어야 함 비선점(non-preemptive) : 한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은 중간에 다른 프로세스가 빼앗을 수 없는 비선점 자원이어야 함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에서 다른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여야 함 원형 대기(circular wait) : 점유와 대기를 하는 프로세스 간의 관계가 원을 이루어야 함 교착 상태 필요 조건 분석 상호 배제.. 2023. 4. 2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